본문 바로가기

병원에대한정보8

내 진료비가 정확할까? 진료비 환불 받는 방법! 얼마 전에 진료비 환불에 대해 간략하게 글을 적었는데, 포인트는 병원으로부터 환불 연락을 받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럼 반대로 내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병원도 사람이 모여서 일을 하는 곳이다 보니 심평원에 청구할 때 비급여 여부가 정확하게 되지 않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심평원 사이트에 보면 직접 내가 진료받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진료비 확인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의료기관 등에서 부담한 진료비가 건강보험(의료급여) 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해 주는 권리구제 제도로 급여 항목은 제외하고, 비급여 또는 전액 본인부담(100대 100) 항목만 적용됩니다.   즉, 급여 항목이 적용되는 것을 비급여로 적용하여 더 받았는지 확인해 주는 것입니다. (단, 법령에서 정하고 잇.. 2024. 11. 20.
병원에서 진료비를 환불 해준다고? 다소 제목이 자극적일 수도 있지만, 병원에 근무하면서 알게 된 것 중 하나는 환불이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대부분 큰 금액보다 적은 액수지만, 잘못 청구된 금액은 환불해 주라고 친히 우편으로 보내준다. 환불이 발생하는 이유는 정상적으로 환자에게 받아야 할 돈보다 더 받았기 때문에 돌려줘야 하는 것이고, 이는 병원에서 진료비를 심평원으로 청구한 뒤 심사하는 과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병원에서 의도적으로 돈을 더 받은 것은 아니고 대부분 비급여 항목이 급여 적용 되면서 발생되는 차익이다. 오해 없으시길.  대략 공문의 내용은 이러하다. 청구한 급여비 환수를 하려고 하는데, 이의 있으면 관련된 서류 언제까지 회신해서 보내시오! 아니면 환수 결정입니다!   이렇게 누구누구에게 얼마 환불해 주세요 적혀있다.. 2024. 11. 18.
병원 제증명 발급, 수수료는 왜 다를까? 병원에서 한 번쯤은 진단서나 소견서를 발급받아 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병원마다 가격이 다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똑같은 서류인데 왜 가격이 다를까요? 그건 제증명이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병원에서 수납하는 비용은 크게 급여와 비급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세하게 나누면 전액본인부담도 있지만 이건 다음에 한 번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 중 제증명은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이 항목도 세세하게 나누면 선별비급여, 인정비급여 등으로 분류됩니다. 여하튼 비급여 항목은 쉽게 말해 급여가 되지 않는, 병원에서 금액을 정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제증명 가격이 병원마다 제각각이었는데요. 수년 전 기사를 찾아보면 꽤 오래전부터 이슈가 되었던 부분 같습니다.  JTBC 기사에 따르면.. 2024. 11. 15.
전문병원, 진짜는 따로 있다! 흔히 어디가 불편하거나 질병을 진단받았을 때 진료를 잘 보는 병원을 전문병원이라 부를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불리는 전문병원이라는 명칭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병원만 사용할 수 있는 정식 명칭입니다. 전문병원으로 지정되려면 협회에서 정해놓은 절차를 거쳐 합격한 기관만이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특정 질환에 대해 높은 진료 수준과 시설, 인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협회 정의에 따르면 전문병원이란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 등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으로,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의 지정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전문병원으로 지정받은 의료기관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흔히 말하는 큰 병원에 가지 않.. 2024.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