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2 병원 종류와 차이(의원, 병원, 종합병원 다른 점) 아플 때 진료받기 위해 가는 곳을 통상적으로 '병원'이라고 부르지만 역할과 기능에 따라 종류가 다르며, 명확한 차이가 있다. 의원과 병원은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 보자. 1. 의원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의원'은 1차 의료기관에 속한다. 감기에 걸리거나 배가 아플 때 방문하는 의원도 있지만, 치과의원이나 한의원도 여기에 속한다. 병원 간판을 보면 ㅇㅇ의원 이거나 본인의 이름을 넣은 홍길동 의원 이런 식의 병원명이 많다. 의원은 전문의(인턴 수료 후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후 자격을 얻은 의사)뿐만 아니라 일반의(의사 면허 취득 후 바로 개원 또는 인턴까지만 수료한 의사)도 개원할 수 있다. (조금 더 내용을 덧붙이면 간판에 표기할 수 있는 진료과목이나 크기 등의 차이도 있음) .. 2023. 2. 14. 3차 병원(대학병원) 진료의뢰서 꼭 필요한가요? 병원을 이용할 때 진료의뢰서가 꼭 있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진료받는 곳이면 다 같은 병원처럼 보이지만, 나라에서 종별을 구분하여 의료전달체계를 만들어 뒀다.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좋아 가급적이면 큰 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고 싶은 영향이 크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모든 사람들이 무조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으로 집중하게 되면 의원이나 병원급은 경영에 어려움이 생기고, 큰 병원은 중증이나 응급환자를 치료하는데 상당히 지체되어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쉽게 말하자면, 가벼운 질병은 동네병원인 1차 의료기관(의원급)에서 진료를 받고, 거기서도 진료가 어려우면 조금 더 큰 2차 의료기관(병원/종합병원급)에서 진료를 받으라는 것이다. 만약 그보다 더 중증인 질병이라서 전문적인 치료가 필.. 2023. 2. 9. 이전 1 다음